맨위로가기

알렉상드르 코제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상드르 코제브는 러시아 출신의 철학자이자 정치 철학자로, 헤겔 철학을 마르크스주의와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1902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1930년대 파리에서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대한 강의를 통해 자크 라캉, 조르주 바타유 등 당대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코제브는 프랑스 재무부에서 일하며 유럽 경제 공동체의 주요 계획가로 활동하며 유럽 통합을 지지했다. 그는 '역사의 종말' 테제를 통해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를 거치면서 이데올로기적 역사가 끝났다고 주장했다. 코제브는 1968년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 경제 공동체 회의에서 연설 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신론 철학자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신론 철학자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나디아 불랑제
    프랑스의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수인 나디아 불랑제는 드뷔시의 영향을 받은 조성 음악 작곡과 여성 지휘자로서의 선구적인 활동을 펼쳤으며, 롱기 음악학교, 피바디 음악원, 파리 음악원, 퐁텐블로 음악학교 등에서 애런 코플랜드, 레너드 번스타인, 퀸시 존스 등 수많은 저명한 음악가들을 배출한 영향력 있는 교육자이다.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미셸 폴나레프
    미셸 폴나레프는 1960년대 데뷔 후 "La Poupée qui fait non"으로 프랑스를 넘어 유럽과 미국에서 인기를 얻었으나, 망명 후 깜짝 귀환하여 활동을 재개, 34년 만에 프랑스 콘서트를 개최하고 28년 만에 새 앨범을 발매하는 등 지속적인 음악 활동을 펼치고 있는 프랑스의 가수이자 작곡가이다.
  • 프랑스의 역사가 - 질 들뢰즈
    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로,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을 재해석하고 차이, 반복, 탈영토화 등의 개념을 통해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 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프랑스의 역사가 - 프란츠 파농
    프란츠 파농은 마르티니크 출신의 정신의학자, 혁명가, 작가로서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폭력과 해방, 정체성, 인간성에 대한 통찰을 제시한 저술로 유명하며, 알제리 독립 전쟁 당시 알제리 민족해방전선을 지원했고, 그의 사상은 탈식민주의 이론과 흑인 해방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알렉상드르 코제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렉상드르 코제브
코제브
출생 이름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코제브니코프
인물 정보
국적러시아 (출생) / 프랑스
출생1902년 4월 28일
출생지모스크바, 러시아 제국
사망1968년 6월 4일
사망지브뤼셀, 벨기에
학력훔볼트 대학교 (베를린)
학력 (추가)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직업고등연구실천원 강사
사상
주요 관심사역사철학
주요 아이디어욕망의 주체
영향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이마누엘 칸트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카를 마르크스
마르틴 하이데거
알렉상드르 코イレ
카를 야스퍼스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바실리 칸딘스키
카를 슈미트
레오 스트라우스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영향을 받은 인물레몽 크노
조르주 바타유
모리스 메를로-퐁티
앙드레 브르통
장폴 사르트르
자크 라캉
레몽 아롱
레오 스트라우스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앨런 블룸
스탠리 로젠
프랜시스 후쿠야마
조르조 아감벤
루이 알튀세르
학파
학파 및 전통대륙 철학
신헤겔주의
실존 현상학
마르크스주의

2. 생애

알렉상드르 코제브는 러시아 출신의 철학자이자 정치가로, 그의 생애는 철학적 탐구와 현실 정치 참여라는 두 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제브는 산스크리트어, 중국어, 티베트어, 라틴어, 고전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를 공부했다. 그는 또한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영어에도 능통했다.[4] 이러한 다재다능함은 그의 철학적 깊이와 국제 정치에서의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마르크스가 말한 유럽의 프롤레타리아트 계급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부유한 서방 세계는 발전 도상 국가들이 만연한 가난을 극복할 수 있도록 마셜 플랜과 비슷한 재정적 지원을 통해 도와야 한다는 입장을 반복적으로 표명했다.

코제브는 1968년 브뤼셀에서 프랑스 정부를 대표하여 유럽 경제 공동체(현재의 유럽 연합) 공무원 및 국가 대표들에게 강연을 하던 직후 사망했다.[5][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알렉상드르 코제브(본명: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코제브니코프,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Коже́вниковru)는 1902년 러시아 모스크바의 부유한 상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삼촌은 추상표현주의 화가 바실리 칸딘스키였다. 1904년 러일전쟁에 징집된 아버지가 1905년 만주에서 전사하자, 어머니는 남편의 죽음 이후 모스크바로 돌아와 렘퀴르와 재혼하였다. 코제브는 모스크바의 명망있는 사립학교에 입학하여 개인 교습을 받았으며, 이후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를 배웠다.

1917년 2월 혁명10월 혁명의 혼란 속에서 성장한 코제브는 15세 때부터 "철학 일기"라는 수기를 쓰기 시작했으며, 이 시기 "죽음의 관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시작했다. 혁명의 혼란 속에서 코제브의 계부 렘퀴르는 도적에게 살해당했고, 코제브는 만성적인 식량난으로 암시장에 드나들다 투옥되기도 했다. 동료들은 총살당했지만, 코제브는 친척의 탄원으로 살아남았다. 이러한 경험은 코제브에게 "죽음=존재하지 않음"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해 평생 고찰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1920년 코제브는 독일로 망명하여 베를린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동양어(산스크리트어, 중국어, 티베트어), 러시아 문학 등을 공부했다. 192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카를 야스퍼스의 지도 아래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종교 철학에 대한 논문("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종교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2년 베를린의 코제브

2. 2. 프랑스에서의 활동과 헤겔 강의

1926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하여 파리 제1대학교(소르본 대학교)에서 연구 생활을 계속했다. 이 무렵 고등사회과학원에서 강의를 하던 과학사가 알렉상드르 코이레를 만나 1933년까지 고등사회과학원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4] 솔본에서는 수학과 물리학을, 고등사회과학원에서는 종교 철학과 동양어를 주로 연구했다. 1933년부터 1939년까지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이 강의는 자크 라캉, 조르주 바타유, 레몽 아롱, 모리스 메를로퐁티, 앙드레 브르통 등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4] 이후 『헤겔 독해 입문』으로 출판되었다. 코제브는 강의를 통해 헤겔 철학을 칼 마르크스와 마르틴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재해석했으며,[7] '주인-노예 변증법'을 통해 인간 욕망과 인정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주인-노예 변증법 해석은 자크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와 관료 생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코제브는 프랑스 경제부에서 유럽 경제 공동체(European Economic Community)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4] 그는 프랑스 대외경제관계국 특무관으로 임명되어, 유럽 경제 협력 위원회(OEEC)(OECD의 전신) 설립에 기여했다.[36]

1948년에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체제 형성에도 참여했다.[37] 코제브는 하바나에서 열린 국제무역기구 관련 회의와[36] 53개국이 하바나 헌장에 서명한 회의에 프랑스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가했다.[37]

1953년, 코제브는 결핵으로 인해 잠시 공직을 떠났지만,[41] "칸트론", "개념·시간·담론" 집필을 시작하며 자신의 지식 체계를 보완하는 데 힘썼다.[41]

1959년, 코제브는 일본을 방문하여 깊은 인상을 받았다.[41] 그는 일본에서 '역사의 종말' 이후 인간 존재 양식의 한 형태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41]

1962년, 코제브는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무역 개발 회의(UNCTAD) 준비 회의에 프랑스 대표로 참석하여 빈곤국의 편에서 연설했다.[41] 그는 케네디 라운드에 큰 기대를 걸었으나, 존 F. 케네디 암살 이후 린든 존슨 행정부 하에서 협상에 참가했다.[41]

1967년, 코제브는 정년 퇴직 후에도 관료로서 활동을 계속하며 미래의 국제무역문제검토회의 의장에 임명되었다.[41]

2. 4. 사망

코제브는 1968년 브뤼셀에서 프랑스 정부를 대표하여 유럽 경제 공동체(현재의 유럽 연합) 공무원 및 국가 대표들에게 강연을 하던 직후 사망했다.[5][6]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유럽 경제 공동체(EEC)(유럽 연합(EU)의 전신) 회의에 참석 중 심장마비로 급사했다.

3. 철학

코제브는 교조적 마르크스주의자는 아니지만, 마르크스와 마르틴 하이데거의 시각에서 헤겔을 독특하게 해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유명한 "역사의 종언" 테제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체제 이후 이데올로기의 역사가 끝났으며, "동등한 권리와 평등한 인정"을 위한 폭력적 투쟁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을 펼쳤다. 코제브의 "역사의 종말"은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주장과는 달리,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뿐 아니라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종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8][9]

마크 릴라는 코제브가 1930년대 유럽 지식인들 사이에 팽배했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가 계몽주의의 실패작이며 공산주의나 파시즘에 의해 파괴될 것이라는 통념을 거부했다고 지적한다. 코제브는 소련에 더 공감하면서도, 서구 유럽, 특히 프랑스가 소련이나 미국의 지배로부터 자율성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자본주의 미국은 우파 헤겔주의를, 국가 사회주의 소련은 좌파 헤겔주의를 반영하며, 결국 어느 쪽이 승리하든 "계급 구별 없는 합리적으로 조직된 관료제"가 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16]

코제브의 헤겔에 대한 주요 강의들은 1947년 ''헤겔 독해 입문: 정신현상학 강의''로 출판되어 고전의 반열에 올랐으며, 영어로도 번역되었다. 그의 헤겔 해석은 20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해석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레몽 크노, 조르주 바타유, 모리스 메를로퐁티, 앙드레 브르통, 자크 라캉, 레몽 아롱, 로제 카유아, 미셸 레리스, 앙리 코르뱅, 장 이폴리트, 에리크 베일 등 당대 저명한 지식인들이 그의 강의를 수강했다.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에 대한 코제브의 해석은 자크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미셸 푸코자크 데리다 같은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자들도 코제브의 영향을 인정했다.

《정신현상학》 강의 외에도 코제브는 이마누엘 칸트에 대한 저서, 헤겔주의와 마르크스주의 철학 및 기독교의 관계에 대한 논문 등을 저술했다. 1981년 사후 출판된 《법 현상학 개요》(1943)는 귀족적이고 부르주아적인 관점의 권리에 대조되는 정의 이론을 상세히 설명한다. 《개념, 시간 그리고 담론》은 지혜가 시간의 충만함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헤겔의 개념을 확장한다.

코제브는 레오 슈트라우스와 서신을 주고받았으며, 크세노폰의 《히에론》에 대한 슈트라우스의 해석에 대한 비판을 함께 출판했다.[32] 1950년대에는 극우 법 이론가 카를 슈미트를 만나, 헤겔의 '주인과 노예' 분석을 통해 슈미트의 '정치 개념'을 비판하기도 했다. 예수회 출신 헤겔주의 철학자 가스통 페사르와도 서신을 교환했다.

코제브는 전소크라테스 철학자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신플라톤주의에 이르는 고전에 대한 슈트라우스의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며, 《이교 사상의 이성적 역사 개요》를 저술했다. 이 책의 1권은 생전에 출판되었고, 나머지 두 권은 사후에 출판되었다(1972, 1973). 그 외에도 《법 현상학 개요》(1981), 《고전 물리학과 현대 물리학에서의 결정론 개념》(1990), 《개념, 시간 그리고 담론》(1990), 《무신론》(1998), 《권위 개념》(2004), 《피에르 베일의 "사전"에서의 정체성과 현실》(2010) 등 다양한 저서가 사후 출판되었다.

3. 1. 헤겔 해석과 '역사의 종말'

코제브는 마르크스주의자는 아니지만, 칼 마르크스와 마르틴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헤겔 철학을 재해석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역사의 종언' 테제를 통해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체제 이후 이데올로기 투쟁이 종식되고 "권리와 동등한 인정"을 위한 폭력적 투쟁이 불필요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코제브의 '역사의 종말'은 단순한 자유민주주의의 승리가 아닌,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종합을 의미한다.[8][9] 그는 자본주의 미국은 우파 헤겔주의를, 국가 사회주의 소비에트 연방은 좌파 헤겔주의를 대표한다고 보았으며, 양 진영 모두 결국 계급 없는 합리적 관료제로 귀결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코제브의 헤겔에 대한 가장 중요한 강의는 1947년 ''헤겔 독해 입문: 정신현상학 강의''로 출판되었으며, 영어로도 번역되었다. 그의 헤겔 해석은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해석 중 하나였다. 그의 강의에는 레몽 크노, 조르주 바타유, 모리스 메를로퐁티, 앙드레 브르통, 자크 라캉, 레몽 아롱, 미셸 레리스, 앙리 코르뱅, 에리크 베일 등이 참석했다. 주인-노예 변증법에 대한 그의 해석은 자크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미셸 푸코자크 데리다와 같은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자들도 코제브의 영향을 인정했다.

3. 2. 주인-노예 변증법

코제브는 헤겔의 '주인-노예 변증법'을 인간 욕망과 인정 투쟁의 핵심으로 해석했다. 그는 인간이 타인의 인정을 통해 자의식을 형성하며, 이러한 인정 투쟁이 역사의 원동력이라고 보았다. 코제브의 주인-노예 변증법 해석은 자크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4]

3. 3. 정치적 견해

코제브는 스스로를 스탈린주의자라고 칭했지만,[22] 소련을 19세기 자본주의가 여전히 존재하는 국가로 간주하며 멸시했다.[23] 그는 소련의 사회 정책을 재앙적이라고 평가했고, 진정한 계급 없는 국가라는 주장은 터무니없다고 생각했다.[23] 코제브는 산업적으로 잘 발달된 자본주의 국가에서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는 구식 철학이 되었다고 냉소적으로 평가하며, 헨리 포드를 20세기의 "유일한 진정한 마르크스주의자"로 언급하기도 했다.[23]

코제브의 스탈린주의는 다소 아이러니했지만, 그는 스탈린 치하 소련의 유토피아와 비협조적인 요소들을 제거하려는 의지를 역사의 종말을 가져오려는 욕망의 증거이자 프랑스 혁명의 테러 시대의 반복으로 여길 정도로 진지하게 받아들였다.[24]

코제브는 유럽의 자율성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미국소련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 독자적인 길을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본주의 미국은 우파 헤겔주의를, 국가 사회주의 소련은 좌파 헤겔주의를 반영한다고 보았다. 어느 편이 승리하든 결국에는 "계급 구별 없는 합리적으로 조직된 관료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16]

이사야 베를린에 따르면, 코제브는 시오니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이스라엘 건국을 알바니아와 같은 평범한 국가로 전락하는 것으로 비유했다.[25] 코제브는 베를린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4. 영향과 유산

코제브의 헤겔 강의는 20세기 후반 프랑스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4] 그의 사상은 자크 라캉,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등 후기 구조주의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4] 코제브의 '역사의 종말' 테제는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동명의 저서를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냉전 종식 이후 세계 질서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그는 유럽 경제 공동체(EEC)(현재의 유럽 연합) 형성에 기여한 공로로 인정받고 있다.[5][6]

1933년부터 1939년까지 파리의 고등사범학교에서 진행된 코제브의 정신현상학 강의는 자크 라캉, 조르주 바타유, 레몽 아롱 등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주인과 노예 변증법에 대한 코제브의 해석은 자크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5. 비판

코제브의 '역사의 종말' 테제는 지나치게 서구 중심적이며, 비서구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다양성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스탈린주의 옹호와 소련의 현실 사회주의에 대한 낙관적인 평가 역시 비판의 대상이다.[4] 전통주의 보수주의 사상가[29][30] 로저 스크루톤은 코제브를 "위험한 정신병자"라고 비판했다.[31]

6. 저작


  • 알렉상드르 코제브,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종교 철학》(Die religiöse Philosophie Wladimir Solowjews),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26년.
  • 알렉상드르 코제브,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역사 철학》(Die Geschichtsphilosophie Wladimir Solowjews), 별쇄본, 본, 프리드리히 코헨 출판사, 1930년. (박사 논문을 바탕으로 한 단편 논문)
  • 알렉상드르 코제브니코프,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종교 형이상학》(La métaphysique religieuse de Vladimir Soloviev), 종교사 및 철학 저널(Revue d'Histoire et de Philosophie religieuses), 1934년 11월-12월, 14권 6호.
  • 알렉상드르 코제브니코프,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종교 형이상학 (계속 및 끝)》(La métaphysique religieuse de Vladimir Soloviev (suite et fin)), 종교사 및 철학 저널(Revue d'Histoire et de Philosophie religieuses), 1935년 1월-4월, 15권 1-2호. (박사 논문을 바탕으로 한 유명한 2부작 논문)
  • * 알렉상드르 코제브 (일리아 머린, 미하일 포즈드니야코프 역),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종교 형이상학》(The Religious Metaphysics of Vladimir Solovyov), 팔그레이브 맥밀란. 초판, 2018년. (프랑스어판 번역)
  • 알렉상드르 코제브, 《Introduction à la Lecture de Hegel》, 파리, 갈리마르, 1947년.
  • * 알렉상드르 코제브, 《헤겔 독해 입문: 정신현상학 강의(Introduction to the Reading of Hegel: Lectures o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앨런 블룸 편집, 이타카: 코넬 대학교 출판부, 1980년. (앨런 블룸이 편집한 축약 번역본으로 원서의 약 절반 분량. 번역자 주석에 따르면 "본 번역본에는 원서의 절반 미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번역된 부분은 프랑스어 원문의 9-34쪽, 161-195쪽, 265-267쪽, 271-291쪽, 336-380쪽, 427-443쪽, 447-528쪽, 576-597쪽에 해당합니다." (xiii쪽))
  • * 알렉상드르 코제브 (조셉 J. 카피노 역), 《헤겔 철학에서의 죽음의 개념(The idea of death in the philosophy of Hegel)》, 정치철학 해석 저널(Interpretation: a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 1973년 겨울, 3권 2-3호, 114-156쪽. (1933-1934년 학년도의 마지막 두 강의의 전체 내용을 포함하며, 프랑스어 원문에서는 《헤겔 철학에서의 죽음의 개념(L'idée de la mort dans la philosophie de Hegel)》이라는 부록(527-573쪽)으로 게재됨)
  • * 알렉상드르 코제브 (이안 알렉산더 무어 역), 《제7장 일반 서론 해석([헤겔의 정신현상학의 종교 장])》, 비판 철학 저널(Parrhesia: A Journal of Critical Philosophy), 2014년, 20호, 15-39쪽, [http://parrhesiajournal.org/parrhesia20/parrhesia20_kojeve.pdf 온라인]. (1937-1938년 학년도의 네 번째와 다섯 번째 강의를 포함)
  • 알렉상드르 코제브, 《권리 현상학 개요(Outline of a Phenomenology of Right)》, 라넘: 로우먼 & 리틀필드 출판사, 2000년.
  • 알렉상드르 코제브, "율리우스 황제와 그의 저술 기법", 조셉 크롭시, 《고대와 근대; 레오 스트라우스를 기리는 정치철학 전통에 관한 에세이(Ancients and Moderns; Essays on the Tradition of Political Philosophy in Honor of Leo Strauss)》, 뉴욕: 베이직 북스, 95-113쪽, 1964년.
  • 알렉상드르 코제브, "폭정과 지혜", 레오 스트라우스, 《폭정론 - 개정 증보판(On Tyranny -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시카고: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35-176쪽, 2000년.
  • 알렉상드르 코제브, 《프랑스 정책 교리 개요(Esquisse d'une doctrine de la politique française)》 (1945년 8월 27일), 《라 레글 뒤 쥬(La règle du jeu)》 1 (1990)에 게재. 에릭 드 브리스 번역: 프랑스 정책 교리 개요(Outline of a Doctrine of French Policy), 《정책 검토(Policy Review)》 2004, 3-40쪽, [https://web.archive.org/web/20070929083759/http://www.hoover.org/publications/policyreview/3436846.html 온라인].
  • 알렉상드르 코제브, 《뒤셀도르프 강연: 유럽 관점에서 본 식민주의(Düsseldorfer Vortrag: Kolonialismus in europäischer Sicht)》, 피에트 토미센 편: 《슈미티아나. 카를 슈미트의 생애와 작품에 관한 논문(Schmittiana. Beiträge zu Leben und Werk Carl Schmitts)》, 6권, 베를린 1998, 126-143쪽. 에릭 드 브리스의 영어 번역 및 해설, 슈미트-코제브 서신 포함: 《알렉상드르 코제브 — 카를 슈미트 서신과 알렉상드르 코제브, "유럽 관점에서 본 식민주의"(Alexandre Kojève — Carl Schmitt Correspondence and Alexandre Kojève, "Colonialism from a European Perspective")》, 《해석(Interpretation)》, 29/1 (2001), 91-130쪽.
  • 알렉상드르 코제브, 《이성적인 이교도 철학사 에세이(Essai d'une histoire raisonée de la philosophie païenne)》, 1-3권, 파리, 1968; 1997.
  • 알렉상드르 코제브, 《칸트(Kant)》, 파리, 1973.
  • 알렉상드르 코제브, 《개념, 시간 그리고 담론(Le concept, le temps et le discours)》, 파리, 1991. 로버트 B. 윌리엄슨 번역: 《개념, 시간 그리고 담론(The Concept, Time and Discourse)》, 세인트 어거스틴 출판사, 사우스 벤드 인디애나, 2013.
  • 알렉상드르 코제브, 《율리우스 황제와 그의 저술 기법(L'empereur Julien et son art d'écrire)》, 파리, 1997.
  • 알렉상드르 코제브, 《칸딘스키의 구체적 회화(Les peintures concrètes de Kandinsky)》, 파리, 2002 (1936).
  • 알렉상드르 코제브, 《권위의 개념(La notion d'autorité)》, 파리, 2004. 헤거 웨슬라티 번역: 《권위의 개념(The Notion of Authority)》, 베르소, 2014.
  • 알렉상드르 코제브 및 오프레 D., 《고전 물리학과 현대 물리학에서의 결정론의 개념(L'idée du determinisme dans la physique classique et dans la physique moderne)》, 파리, 1990.
  • 알렉상드르 코제브 및 비바르 L., 《무신론(L'athéisme)》, 파리, 1998.
  • 알렉상드르 코제브, 《현상학 너머. 서평 (1932-1937)(Oltre la fenomenologia. Recensioni (1932-1937))》, 잠피에로 키빌로 이탈리아어 번역, «I volti», 68호, 미메시스, 우디네-밀라노, 2012.
  • 『헤겔 독해 입문――『정신현상학』을 읽는다』 가미즈마 사토시・이마노 마사카타 역, 국문사, 1987년
  • 『법의 현상학』 이마무라 진지・카타다 켄이치 역, 법정대학출판국, 1996년, 신장판 2015년
  • 『개념・시간・담화――헤겔 「지의 체계」개정의 시도』 미야케 마사즈미・네다 류헤이・야스카와 케이지 역, 법정대학출판국, 2000년
  • 『권위의 개념』 이마무라 신스케 역, 법정대학출판국, 2010년
  • 『무신론』 이마무라 신스케 역, 법정대학출판국, 2015년

참조

[1] 서적 unnamed 1987
[2] 서적 unnamed 1987
[3] 서적 Modern French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4] 논문 James H. Nichols, Jr., Alexandre Kojève: Wisdom at the End of History 2011-03-01
[5] 서적 Alexandre Kojève Grasset 2002
[6] 논문 Alexandre Kojève and his Quest to Actualize the 'Universal and Homogenous State' https://history.colu[...] 2023-08-08
[7]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W.W. Norton and Company 2005
[8] 논문 Capitalisme et socialisme: Marx est Dieu; Ford est son prophète. (Capitalism and socialism: Marx is God; Ford is his prophet) 1980
[9] 논문 Kojève's Latin Empire http://www.hoover.or[...] 2008-04-14
[10] 서적 unnamed 2001
[11] 웹사이트 « Les philosophes ne m'intéressent pas, je cherche des sages », une conversation avec Alexandre Kojève https://legrandconti[...] 2020-12-25
[12] 논문 Exchange between Trân Duc Thao and Alexandre Kojève https://www.pdcnet.o[...] 2009
[13] 서적 Alexandre Kojève: Wisdom at the End of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7
[14] 논문 Philosophy and the Communist Party https://www.radicalp[...] 2021
[15] 서적 unnamed 2001
[16] 서적 unnamed 2001
[17] 서적 Conversations with Isaiah Berlin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1991
[18] 논문 Kojève's letter to Stalin https://www.radicalp[...] 2014
[19] 논문 Romantic bureaucracy: Alexander Kojève's post-historical wisdom https://www.radicalp[...] 2016
[20] 뉴스 La DST avait identifié plusieurs agents du KGB parmi lesquels le philosophe Alexandre Kojève https://www.lemonde.[...] 1999-09-16
[21] 웹사이트 Russian Stalinist who invented Europe https://www.politico[...] 2017-03-22
[22] 웹사이트 The Cult of Lacan: Freud, Lacan and the mirror-stage http://www.richardwe[...] 1994
[23] 서적 Alexandre Kojève: Wisdom at the End of History Rowman & Littlefield 2007
[24] 서적 An Atheism That Is Not Humanist Emerges in French Thought
[25] 웹사이트 Israel: A Nation among Nations https://berlin.wolf.[...] 1973
[26] 논문 Reflections of a Zionist Don https://www.proquest[...] 1990
[27] 논문 Conversations with Isaiah Berlin https://www.tandfonl[...] 1991
[28] 서적 Conversations with Isaiah Berlin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1991
[29] 서적 Mill and Liberal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0] 서적 Conservative Thinkers: The Key Contributors to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Modern Conservative Part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3
[31] 웹사이트 The trouble with Islam, the European Union - and Francis Fukuyama https://www.opendemo[...]
[32] 서적 On Tyranny
[33] 서적 Ancients and Moderns: Essays on the Tradition of Political Philosophy in Honor of Leo Strauss Basic Books 1964
[34] 뉴스 米対欧策転換 大陸全体を援助 マ長官重大演説 1947-06-07
[35] 뉴스 パリ会談決裂す 英仏 ソを除き計画実現へ 1947-07-04
[36] 논문 アメリカの資力と世界経済――マーシャル・プランを中心として 早稲田大学人文科学研究所 1951-02
[37] 간행물 GATT/WTO体制の概要とWTOドーハ・ラウンド農業交渉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06
[38] 뉴스 ソ連進出の“防波堤” 対外援助法成立す 米大統領 署名・きょう発足 朝日新聞 1948-04-05
[39] 서적 マーシャル・プラン――米国の対外援助政策 朝日新聞社 1949
[40] 서적 マーシャル・プラン――米国の対外援助政策 朝日新聞社 1949
[41] 서적 The Marshall Plan: America, Britain and the Reconstruction of Western Europe, 1947-195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